농업직공무원 시험과목, 경쟁율, 업무부처 등을 알아볼께요

안녕하세요? 우리 나라에서 철밥통이라 불리는 공무원! 공무원 시험 수년 전과 같은 높은 경쟁률은 조금 낮아졌지만 아직도 많은 공시생들이 젊음을 보내며 노력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농업직공무원의 직무와 시험과목 등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농업직공무원은 지방직과 국가직으로 구분되어 있고 9급과 7급 시험이 있으며, 7급은 생물학, 토양학 2과목이 더 많습니다.

농업직공무원 시험과목
농업직공무원 9급 : 국어, 영어, 한국사, 재배학, 식용작물학
농업직공무원 7급 : 국어, 영어, 한국사, 재배학, 식용작물학, 생물학, 토양학

2021년 기술직 공무원 선발인원 및 경쟁률
국가직 농업직 9급 연도별 경쟁률
– 2020년 : 40.44:1
– 2021년 : 66.2:1
– 2022년 : 61.2:1
2020년 경쟁률에 비해 22년 경쟁률이 상당이 높아졌습니다. 그러나 21년보다는 낮아졌습니다. 지방직 경쟁률은 지역마다 편차가 심해서 많게는 3자리 수이지만 대게 2자리수의 인원이 시험접수를 하며 보통 지역마다 한자리수의 인원을 뽑게됩니다.

농업직공무원 하는 일
국민 먹거리 생산 증대를 위한 농산물 생산 및 검사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으로 농산물 생산에 대한 검사, 비료제조, 식량생산관련 업무 등을 담당합니다.

농업직공무원 장점
①낮은 경쟁률
②학력 및 경력 자격증 소지 제한 없음 :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응시가능
③노베이스 비전공자에게 추천하는 틈새 직렬 : 비전공자가 전략적으로 도전할수 있음

업무 부처
국가직 농업 공무원은 농림부 소속기관에서, 지방직은 각 시/구청의 사업소에서 근무하게 됩니다. 2019년도 국가직 공무원 부처배정표를 버면 농업직(일반농업) 전국 -> 농림축산식품부, 농총진흥청, 그외 농업기술센터.  근무처는 주로 세종시에 있지만 근무지는 공채 기준의 경우 보통 3년마다 순환근무를 하게 됩니다.

농업직공무원 시험 상담[바로가기]

지금까지 농업직공무원 시험과목, 직무와 업무부처를 국가직과 지방직별로 알아보았습니다. 농업직 공무원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기출문제 제공, 출제 경향 등 자세한 내용은 상담을 통해서 알아보시기 바랍니다.